리눅스에서 파일을 숨김으로 만드는건 파일명 앞에 .을 붙이는 것입니다. 따라서 숨어져있는 파일의 이름 앞에 붙은 .을 떼어버리면 숨김 해제가 됩니다. 그렇다면 필요한건 두 가지 기능입니다. 숨김된 파일 .test 파일 이름을 변경하는 기능 mv 다만, 리눅스 커맨드 기능에 익숙하지 않다면 mv기능을 사용하다 실수로 파일을 덮어씌워버리거나 엉뚱한 디렉토리로 이동시킬 가능성이 있으니 리눅스 커맨드에 익숙하지 않으시다면 반드시 아래처럼 진행하세요 예를들어 해제하고 싶은 숨어져 있는 파일 이름이 .test라고 가정합시다. 바꾸려는 파일이 존재하는 디렉토리로 이동 (cd 커맨드 사용, 반드시 해주셔야 합니다.) mv ./.test ./test로 파일의 이름 앞에 붙은 .표시만 뺀 이름으로 바꿔주면 됩니다. mv는..
해당 문제는 ndarray의 구간별 길이가 일정하지 않을 때 나타나는 문제다. 예를들어 [[2, 3, 4], [1, 2]] 처럼 첫번째 row는 3개의 column을 가지는데 두번째 row는 2개의 column만을 가지는 경우에 이러한 오류가 나온다. 해결방법으로는 이런 형태의 ndarray가 선언되는 부분에서 dtype=object를 주면 된다는데, 데이터 타입을 건드리는 것은 아마도 numpy의 모듈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만들어 귀찮게 될 수 있기 때문에 나는 사용하지 않았고, stackoverflow를 참고하니 numpy 버전을 최신버전을 사용하지 말고 1.21쯤으로 낮춰보라하여 1.21.6버전으로 낮췄더니 해결되었다. User warning은 뜨지만 문제가 해결됐다면 장땡이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KRdEm/btsyIOzhGZk/P2AbOta7RyiKxuKIleZcj1/img.png)
1. p-차 놈 (Norm) 일단 어이가 없지만 |A|는 ||A||와 같은 말이다. 이것 때문에 다시 공부할때 약간 혼동이 오더라 : Norm은 벡터공간에서 벡터의 '크기'를 측정하는 척도로 생각하자. 우리가 알고있는 2차원 공간상의 Euclidian distance가 바로 2차 놈이다. p-차 놈의 정의는 다음과 같이 내린다. $$||x||_p = \{\sum_i^k(x_{i})^p\}^\frac{1}{p}$$ 보통은 1차놈은 벡터 요소들의 절댓값의 합이고 2차놈은 Euclidian distance가 된다. 그 외 3차부터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예외로 무한차원의 놈을 사용하는데 딱히 실용적인 부분으로는 어디에 쓰이는지 기억이 가물가물한데 딱히 사용된 적이 없던것으로 보아 실무적인 부분에서 알 필요 ..
헛발질을 많이 했다.DLL load failed검색하면 가상환경 관련된 이야기들이 많이 나와서 가상환경가서 헛발질 많이 했는데 나의 경우는 그냥 이거 해주니까 해결됐다.당연하지만 pip니까, conda 가상환경을 꼭 켜고 실행해야된다. conda 가상환경이 뭔지 모르겠으면 실행하지 말고 가상환경부터 공부하고 실행하자!pip install -U Pillow<..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NKuJ2/btsuRKfV8iS/p73LL6HiNVsQDtk0HfJMEK/img.png)
24년 7월 수정..이제 ChatGPT에서도 해당 기능을 무료로도 이용 가능하다. 더이상 어렵게 해당 사이트를 사용할 이유가 없어졌다. 근데 ChatGPT가 Table까지 되는지는 모르겠다.==================================== 논문을 쓰거나 참고하다보면 내 노트에 인용해서 적어두고 싶은 수식을 발견하거나, 최근에는 ChatGPT에 물어보고 싶은 수식을 발견하게 된다.그러나, 논문에 올라와 있는 수식은 대개 이미지고, 혹여 글로 써준 부분이 있어도 막상 복사 붙여넣기하면 전혀 엉뚱한 기호로 나타나는 경우를 많이 보았을 것이다. 그렇다고 LaTeX에 익숙하지 않은 우리가 하나하나 기호를 찍어가면서 LaTeX 식을 만들자니 이만큼 비효율적이고 귀찮은 작업도 없고, 당연히 그냥 대충..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OwYJG/btssVN0fA3i/iJMRkKhQDfLdvzZfos4SzK/img.png)
이처럼 가상환경들이 있을 때, 보통 가상환경의 이름을 바꾸기 위해서 검색을 해봐도 rename과 같은 코드는 없다. 따라서 보통은 create 와 clone을 이용해서 똑같은 가상환경을 만들면서 이름을 바꾸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괜히 이렇게 하다가 잘못 복사하거나, 헷갈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딱히 추천하지 않는다. 그냥 가상환경 폴더로 이동해서 폴더의 이름을 바꿔주면 된다. 예를들어 moltrans라는 가상환경을 test라는 가상환경으로 바꾸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코드를 차례로 수행하면 된다. # moltrans 가상환경이 설치된 폴더로 이동 cd /YOUR/PATH_TO/anaconda3/envs/ # envs 폴더 내 가상환경 확인 ls # mv 명령어를 통해 폴더명 변경 # mv [이름을 바꿀 대상..
한줄 요약 "num_workers" 옵션을 0 또는 1로 주지 않고 임의의 숫자로 지정했다면 0또는 1로 수정하고 다시 돌려볼 것 진짜 야랄맞은 경험을 했다.torch의 dataloader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불러올 때 보통 for문을 이용한다. 아래처럼train_dataset = dataset(df_train ...)train_loader = torch.utils.data.DataLoader(train_dataset, batch_size=4, shuffle=True, num_workers=0,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4261921/importerror-libtinfo-so-5-cannot-open-shared-object-file-no-such-file-or-dire
1. 왜 이런 오류가 나는가? 해당 오류는 환경 설치 파일(yml/yaml/requirements.txt) 내부에 설치해야 할 package의 버전을 명시하지 않고 배포자의 컴퓨터에 존재하는 local path로 지정하여 배포한 환경설치파일을 이용한 경우에 나타난다. 다시말해, 설치를 원하는 바로 당신의 컴퓨터에는 당연히 배포자가 지정한 경로에 설치파일이 존재할리 없다. 따라서 컴퓨터는 '그런 경로에 패키지 설치파일이 없는데?' 또는 '그런 경로가 없는데?' 라는 에러를 뱉어내는 것이다. 2. 예를들어보면 예를들어 철수의 컴퓨터에 C드라이브/배포자컴퓨터/텐동/설치할패키지 경로가 있었고, 이것을 export해서 환경설치파일을 만들었다고 하자. 이것을 다운로드 받은 영희 컴퓨터에서 아무리 C드라이브/배포자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5Gnsc/btsp7VlgZJV/ukDUqRUo8DKNnJhTGgNdg0/img.jpg)
한국인들이 자주 애용하는 표현, 무언가에 자신이 없거나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말해야할 때, 이런말하기 부끄럽지만... 뉘앙스는 어떻게 영어로 이야기할까? 1. I am not proud to say this ~ I am not proud to say this, I'm not familiar with operating system so I don't know my system is proper to run your model. 2. I am embarrassed to say this ~ I am embarrassed to say this, I'm not familiar with operating system so I don't know my system is proper to run your model...
- Total
- Today
- Yesterday
- 3b1b
- eigenvalue
- 오일석기계학습
- 기계학습
- vae
- 선형대수
- 나노바디
- kld
- 제한볼츠만머신
- 최대우도추정
- MLE
- 이왜안
- MatrixAlgebra
- marginal likelihood
- 백준
- kl divergence
- manim
- eigenvector
- Manimlibrary
- manimtutorial
- 파이썬
- 인공지능
- variational autoencoder
- ai신약개발
- Matrix algebra
- manim library
- MorganCircularfingerprint
- 3B1B따라잡기
- 베이즈정리
- elementry matrix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